정조 임금이 작성케 한 일성록이란? 일성록이란? 이 책은 조선 영조 36년(1760) 1월부터 1910년 8월까지 조정과 내외의 신하에 관련된 일기이다. 임금의 입장에서 펴낸 일기의 형식을 갖추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정부의 공식적인 기록이다. 현재 이 책은 2,329책이 모두 전하고 있으나, 21개월분이 빠져 있다..
영조임금, 어머니를 생각하니 눈물·콧물이 흐른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09. 05. 08 “아! 이제야 25년 동안 낳아주고 길러주신 은혜에 만분의 일이라도 보답할 수 있을 듯하다. 지금 이 비문을 나 스스로 짓는 것은 자식으로서 사친(私親, 후궁 신분인 임금의 친어머니)의 마음을 삼가 받든다는 뜻이다..
조선 제20대 임금인 경종의 의릉(懿陵)을 돌아보며... 의릉(懿陵)은 조선 20대 임금인 경종(景宗1688~1724, 제위 1720~1724)과 그의 계비인 선의왕후(宣懿王后 1705~1730)) 어씨의 능이다. 경종은 숙종의 맏아들로 어머니는 장희빈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옥산부대빈 장씨이다. 선의왕후 어씨는 함원부원군 어유구..
조선왕조 현종 숭릉(崇陵) 동구능 숭릉(崇陵)은 조선왕조 제 18대 현종(顯宗1641~1674)과 원비(元妃) 명성왕후(明聖王后) 김씨(金氏1642~1683)룰 모신 쌍릉(雙陵)이다. 현종(顯宗)은 여론(與論)을 둘러싼 정쟁(政爭)에 시달렸으나 조선왕조의 질서(秩序)를 창설하는 등 군비(軍備) 증강(增强)에 힘썼다. 또한 국..
조선은 518년 동안 왕조를 이어온 세계사에 드문 나라였다. 지난 6월 26일 조선왕릉 40기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한꺼번에 등재됐다. 이를 기념하여 조선왕릉을 시리즈로 다룬다. 왕릉은 천하명당 중에 명당을 골라 만든 사후 왕과 왕비의 세계에도 왕권의 위엄와 힘이 느껴진다. 왕릉의 규모와 ..
임진왜란과 정유재란 대내적으로 붕당간의 권력 쟁탈전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을 때 대외적으로는 여진족과 일본의 외침이 있었다. 1583년 니탕개(尼蕩介)를 중심으로 회령지방에 살던 여진족이 반란을 일으켜 경원부(慶源府)가 함락되자, 경기감사 정언신(鄭彦信)을 도순찰사로 하여 군대를 출동시..
내가 가르치는 아이들에게 물어본다. 가장 짧은 재위기간이었던 임금은 누구게? 아이들은 거의 단종(端宗)이라 한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가 뭐야? 이렇게 물으면... 단종의 단이 짧을 단(短)이잖아요? 이렇게 대답하는 아이들. 단종 역시 치세가 길지는 않았다. 3년 정도의 치세기간, 정확하게는 3년 2..
◎ 중종(中宗) 1488~1544 조선 제 11대 왕(재위 1506~1544), 휘(諱)는 역(繹), 자는 낙천(樂天), 성종의 2남. 연산군(燕山君)의 이복동생, 어머니는 정현왕후(貞顯王后) 윤씨(尹氏), 비는 신수근(愼守勤)의 딸 단경왕후(端敬王后), 제1 계비(繼妃)는 윤여필(尹汝弼)의 딸 장경왕후(章敬王后), 제2 계비는 윤지임(尹之..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